챗지피티(ChatGPT) 캔버스(canvas) 사용방법 및 활용 사례 소개

챗지피티(ChatGPT)에서는 코딩 및 글쓰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캔버스(canvas)를 제공합니다.

캔버스(canvas)가 제공하는 기능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실제 경험을 빗대어보면 ‘부분 편집’, ‘마무리’, ‘글편집’, ‘긴글 쓰기’기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긴 코드를 생성하거나, 글쓰는 작업을 할 때, 처음부터 다시쓸 필요 없이, 이용자의 맥락을 파악하여 기존에 생성된 결과물에서 부분적으로 고치고 편집하는 기능이 강화된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 캔버스(Canvas) 활성화 하기

처음에는 똑같이 일반 채팅으로 시작되며, 프롬포트에 ‘캔버스로 나타내줘’라는 요구사항이 들어있으면, 작업 결과물을 캔버스로 나타내 줍니다.

캔버스가 불편하거나, 굳이 캔버스까지 필요없는 작업물이라면 ‘대신 채팅에서 답합니다’를 통해서 채팅으로 불러오는 것도 가능합니다.

📖

프롬포트

바이타믹스를 설명하는 블로그 글을 작성해주고, 결과물은 캔버스로 나타내줘

🛠️ 캔버스(Canvas) 기본 기능 및 사용방법

캔버스(Canvas)는 일반적인 대화를 통해서도 요청이 가능하지만,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는 기능들이 있습니다.

✂️ 편집 제안

‘편집 제안’버튼을 누르면 챗지피티는 편집이 필요할 것 같은 곳에 댓글을 작성해줍니다.

해당 댓글을 누르면 문장이 좀 더 자연스럽고 풍부해질 수 있을법한 요소들을 추천해줍니다.

또한, 댓글이 달리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도 이용자가 직접 댓글을 달 수 있으며, 편집할만한 요소를 요구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 길이 조절

현재 캔버스 내에 적혀있는 컨텐츠의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글이 너무 짧거나 길다면, 스크롤 바를 이용해서 길이를 조절하여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 대화에서도 길이를 조절할 수 있지만, 캔버스 내에서 길이조절을 하면 글의 퀄리티와 맥락을 좀 더 효과적으로 지키면서 글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 독해 수준

문체를 쉽게 할것인가, 전문적으로 할 것인가를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스크롤을 이용하여 조절이 가능하며, 유치원생부터 대학원생까지 단계가 다양하며, 컨텐츠를 효과적이고 쉽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작성을 주로 하시는 분들께서는 이 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일반 대화에서 문체 변경은 생각보다 이상한 결과물을 나타내줄 때가 많은데, 그 이유는 바로 맥락 파악이 일반 대화에서는 잘 안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캔버스에서 독해 수준 기능을 이용해서 조절하면, 캔버스 내에 있는 컨텐츠를 독자적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보다 나은 퀄리티를 제공해줍니다.

🔍 마지막으로 다듬기

글이 전반적으로 길이와 문체, 편집까지 마무리 되었다면, 최종적으로 검수하는 역할을 하는 기능입니다.

해당 기능을 이용하면, 오탈자부터 어색한 문장, 정보의 크로스 체크까지 하여, 전체적으로 완성도 있는 컨텐츠를 발행하도록 돕습니다.

하지만, 완성된 글을 전체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내가 원했던 의도와는 다르게 마무리가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유의하면서 다듬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이모지 추가

글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으로는 ‘이모지’를 추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과거에 해외 블로그들을 살펴보면 이모지와 함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지금은 국내에서도 이모지를 활용해서 원고 작성을 하는 블로그가 많아지는 추세입니다.

이모지가 워낙 많다보니까, 이를 고르는 것도 사실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하지만, 챗지피티(ChatGPT)의 ‘이모지 추가’기능을 이용하면 고민할 필요 없이 적절한 위치와 함께 어울리는 이모지를 배치해주기 때문에 원고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변경 사항 표시

캔버스를 통해서 수정하다보면, 어디가 어떻게 변경되었는지 직관적으로 보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때, ‘변경 사항 표시’를 이용하면, 어디가 삭제되었고, 어떻게 변경되었는지를 직관적으로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전 버전 돌아가기

원고나 코드가 여러차례 반복되어 수정되었을 때, 이전 버전으로 복원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이전 버전 돌아가기’를 통해서 언제든지 히스토리를 확인하고 버전을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 코딩/개발에서의 캔버스(Canvas) 사용방법

코딩이나 개발 업무에서의 캔버스(Canvas)는 원고 작성보다도 더 좋은 효율을 보여줍니다.

특히,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줄이 길어지기 때문에, 일반 채팅 대화로 이어나가다 보면 내용이 너무 길어져서 기존 코드를 누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캔버스를 이용하면, 코드가 캔버스 안에 작성되어 있고, 여기서 부분적으로 편집해나가면서 개발하기 때문에 뛰어난 효율을 보여줍니다.

🛠️ 코드 검토

코드 검토기능을 하게 되면, 코드 전반적인 맥락을 파악한 후에, 해당 줄의 코드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대체 방법에 대해서 제안해줍니다.

또한, 필요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과감히 제거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 특정 언어로 포트

지금 작성된 코드는 html 기반으로 작성된 코드입니다. 하지만, 이를 php 페이지에 로드시키거나, 파이썬을 통해서 다양한 응용을 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특정 언어로 포트’기능을 통해서 손쉽게 변환이 가능합니다.

일반 대화에서도 가능은 하지만, 코드의 일부가 누락될 확률이 있기 때문에 캔버스를 이용해서 변환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버그 수정

버그 수정기능은 캔버스 내에 작성되어있는 코드를 전체적으로 스캔해가면서 작동되지 않거나, 특정 에러를 유발하는 코드를 검수하는 기능입니다. 실제로 작동하게 되면, 첫번째 줄부터 맨 마지막 줄 까지 순차적으로 스캔해가면서 내려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로그 추가

디버깅(버그를 찾아내 수정하는 과정)작업을 거칠 때 어디가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 기록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도 개발자가 일일히 수작업으로 해당 기능에 로그 기능을 추가해줘야 가능합니다.

하지만, 챗 지피티(ChatGPT)의 ‘로그 추가’기능을 이용하면, 디버깅 작업에 필요한 로그 작업을 자동으로 해줍니다. 이는 개발자의 피로도를 현저히 줄여주는 기능이기 때문에 필요시 사용한다면, 작업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습니다.

💬 댓글 추가

댓글 추가기능은 작성된 코드에 ‘각주’를 달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코드가 너무 길어져서, 나중에 수정을 할 때 이 ‘각주’를 찾게 되는데, 이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켜주는 작업을 미리 해주는 것입니다.

실제로 작업 기간이 길어지고 할 때는 각주를 놓치는 부분도 많기 때문에, 코드 작업을 미리 한번 한 후에, 챗 지피티에게 ‘댓글 추가’기능을 통해 ‘각주’를 요청하면, 적절한 위치와 중요한 기능을 하는 곳의 맥락을 파악하고 상황에 맞는 ‘각주’를 추가해줍니다.

🚀 마무리

챗 지피티(ChatGPT)의 캔버스(Canvas)기능은 긴글 짧은글의 원고작성, 원고 편집, 코드 작성 및 편집, 부분편집등 프로그램으로 별도로 이용해야하는 ‘코드 편집기’같은 역할을 합니다.

기본 기능만 놓고봐도 왠만한 ‘코드 편집기’보다 훌륭하며, 컨텐츠 작성과 코드 작업을 모두 지원하는 다재다능한 기능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채팅이나 대화에만 익숙한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캔버스라는 기능이 다소 생소하게 여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을 기획하게 되었고,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캔버스 기능을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 이런 컨텐츠는 어떠세요?

다양한 AI의 활용사례를 만나보세요. 분명 당신의 삶에 많은 시간과 여유를 가져다 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