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모델 장단점 및 세부 비교(ChatGPT등 대표 AI모델)

본인의 생산성을 끌어올리고자 할 때, 요즘 많이 거론되는 주제들은 ‘AI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다 나은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조금만 들여다 보면 “어떤 AI도구가 최고인가?”라는 질문에 도달하게 됩니다.

저도 실제로 이 문제 때문에 여러 AI도구들을 이용해왔고, 현재는 ChatGPT와 Claude로 정착한 상황입니다만, 분명히 특정 환경에서는 이전에 사용했던 AI도구들이 생각나거나, 다시 유료로 결제해서 이용하고 있는것을 보면, AI도구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정답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만약, 아직 AI도구를 경험해보지 못했고, 어떤 AI도구를 이용해야할지 고민이라면,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조금이나마 그 문제가 해결되길 바랍니다.

🤖ChatGPT

chatGPT(챗지피티)는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는 생성형 AI 모델입니다. 버전이 거듭할수록 한글친화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실제로 글쓰기나 한글로 된 문서의 데이터 분석 및 통계자료가 필요할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코파일럿을 제외하고 이미지 생성 능력까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손쉽게 필요한 아이콘이나, 삽화등을 만들어내는것도 가능합니다. 또한, 파일첨부 기능을 통해서, 엑셀이나 텍스트, 코딩파일을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고, 연관된 데이터를 도출해내고 생성하는데에도 매우 편리합니다.

특히, ChatGPT의 가장 큰 장점은 GPTs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인데, 이 기능은 다양한 사용자들이 각각 분야에 특화된 GPT를 별도로 만들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코딩에 특화된 GPT라던가, 이미지 생성에 특화된 GPT, 유튜브 대본이나 스크립트, 원고등에 특화된 GPT등 여러가지 GPTs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은 유료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Claude

클로드(Claude)는 출시때부터 이미 한글에 대한 이해도가 굉장히 높았던 AI모델입니다. 특히 윤리적 추론이나, 실제로 리뷰어가 작성한 듯한 글 솜씨등, 한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서 완성도 있는 원고를 작성합니다.

또한, 코딩 능력이 뛰어나며 ‘artifact’라는 기능으로 코딩을 작성하고 미리보는 기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코딩을 하는 입장에서 굉장히 편리합니다. 개인적으로, 코딩하는 능력도 일반적인 ChatGPT보다 뛰어나다고 판단됩니다.

파일첨부 기능을 통해서 일부 코딩된 파일이나 cvs파일을 해독하고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만 아직 ChatGPT보다는 다소 떨어지는 성능이 아쉽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기능을 통해서 일관된 프로젝트를 채팅을 통해 계속해서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굉장히 긴 장문의 텍스트를 해독하고, 내용을 추리는 능력도 뛰어나기 때문에, 원고를 작성하는 일이나, 코딩을 자주하시는 분들이라면 ChatGPT보다는 Claude를 이용하시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Perplexity

Perplexity(퍼플렉시티)는 실시간 통합 검색과 분석 및 해석 기능이 결합된 독특한 형태의 AI모델입니다.

다른 AI모델들은 과거 데이터를 활용한다는 단점을 보완하여 최신 정보들을 활용하고, 모든 답변들에 대해서 출처를 제공합니다.

무료버전은 상대적으로 낮은 버전의 AI모델을 이용하지만 Pro버전을 이용하면 GPT-4 모델을 활용해서 정보의 정확성이나 속도면에서 우수한 퍼포먼스를 제공합니다.

학술자료나 다소 답변이 애매한 질문등에 특화된 AI모델이라 할 수 있으며 연구자나 비즈니스 전문가들에게 유용합니다.

단, 아직 한글 지원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답변의 이해도나 정확도가 영어에 비해서는 모자릅니다. 하지만 Perplexity를 한글로 이용하면서 크게 불편한 점은 많이 없었습니다.

📋Notion AI

Notion AI는 Notion(노션)이라는 메모 플랫폼에 합쳐져 있는 AI 도구입니다. 실제로 블로그를 작성하거나 원고를 작성할 때, 혹은 다양한 업무에 필요한 워크시트를 만드는데 활용 됩니다.

한글 지원도 꾸준하게 업데이트 되며 개선되고 있고, 윈도우(Windows)나 맥(Mac) 플랫폼간의 이동도 자유로워서 많이 이용되는 플랫폼입니다.

플랫폼에 종속되어있기 때문에 다른 AI 도구보다는 다소 범용성이 떨어지지만, 노션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에게는 창 전환 필요없이 내부에서 곧바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힙니다. 실제로 이용해보면 노션 내에서의 기능이 강력한 편이기 때문에 매우 편리합니다.

만약 본인이 원고작성, 회의록 작성, 블로그 작성등의 텍스트 위주와, 테이블 작성 위주의 작업을 하는 사람이라면 노션과 함께 노션AI를 함께 써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Copilot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Copilot(코파일럿)은 윈도우(windows)운영체제와 office 제품군에서 완벽하게 통합된 AI도구입니다. 특히 프로그래밍 분야에서는 github의 연동을 통해서 실시간 코드 작성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이미지 생성도 지원하기 때문에 범용성 면에서도 합격점을 줄 수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ChatGPT와 Claude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대략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어떤 AI도구를 이용해야할지 모른다면 Copilot을 이용하는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단, 완벽하게 ChatGPT와 Claude의 장점을 수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단 무료버전을 이용해보고 유료결제를 해야할지를 고려해보는것이 좋습니다.

🧩Gemini

구글이 개발한 Gemini(제미나이)는 멀티기능이 강화된 AI 모델입니다.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오디오, 코딩 등의 복잡한 형태의 입력을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해당 모델이 강조하는 점은 복잡한 추론과 분석능력의 퍼포먼스가 좋다고 하며, 구글에서 제공하는 워크스페이스와 통합적으로 운영이 이뤄지기 때문에 연동이 가능한 것도 장점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면, 아직은 전문성이나 정확성이 다소 떨어지는 퍼포먼스를 보이기 때문에, 일단은 여러가지 모델과 함께 사용해보시면서 업데이트 될 때 유료전환을 이용해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하지만, 본인의 업무환경이 대부분 구글 워크스페이스를 이용한다고 하면, 이보다 더 좋은 선택지는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